Ⅰ. 제안개요
1. 목적
[그것이 궁금] 조선 남자 자존심 '갓' 찾아 떠난 랜선 여행
<평생도> 안에는 돌잔치와 결혼과 같은 평생 의례부터 높은 관직에 오르는 출세까지 조선시대 사대부의 일생이 담겨있는 중요한 역사적 의미가 있는 민속자료이다.
언어가 통하지 않더라도 <평생도>를 보면 조선 시대에서는 첫번째 생일인 돌을 어떻게 축하해주었는지, 혼례식의 문화는 어땠는지, 사대부들에게 과거 급제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었는지 등의 사회상을 자연스럽게 느낄 수 있다.
<평생도>를 이해하여 현시대에 맞는 디지털 인터랙션을 통해 문화적 가치에 대해 재발견 하는 것은 특정시대 하나의 그림을 목도하는 것을 넘어, 조선시대의 특징적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고, 더 나아가 현재의 한국문화의 근간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.
따라서 당 제안은 <2021년 국립중앙박물관 디지털 콘텐츠 제작 및 설치 용역>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, 국내의 관람객뿐만 아니라 해외 거주 외국인에게 <평생도>를 작품적 가치를 온/오프라인에 적합한 미디어를 통해 발현하여, 한 사람의 일생을 통한 한국적 문화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.
2. 배경